pm 직무 3

IT 업계 PM이란 무엇인가? (3/3)

회사에 따라 달라지는 PM의 역할이전 글에서는 해외와 국내 PM의 차이에 대해서 설명하면서 국내 PM의 경우 회사의 규모, 성장 단계, 조직 구성에 따라 원하는 PM의 역할이 달라질 수 밖에 없다는 얘기를 했습니다.토스에서도 프로덕트 매니저를 설명하는 글에서 아래와 같이 제품의 성장 단계에 따라 PO / PM이 필요한 시기와 역할이 달라진다고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물론 제가 이전 글에서 설명한 것처럼 국내에서는 PO / PM을 혼동하여 사용하기에 혼란을 가중시키는 측면이 있기는 하지만, 제품의 단계에 따라 역할이 달라진다는 의미는 잘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토스에서 설명한 것처럼 시기에 따라 명확하게 역할이 나눠지는 경우는 많지 않겠지만, 당연히 큰 기업과 중소 규모의 스타트업에서도 PM이 역..

PM 2024.07.09

IT 업계 PM이란 무엇인가? (2/3)

해외에서 정의하는 PM해외에서는 Product Manager의 역할이 명확하게 정의되고 있습니다.재미있는 건 Product Owner까지 비교해서 살펴보면, 국내의 인식과는 아주 다르게 역할을 정의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우선 국내와 가장 크게 다른 점은 Product Manager의 역할이 Product Owner의 역할보다 크다는 점입니다.Product Manager (PM): 전략적(Strategic) - 프로덕트의 비전, 회사의 목적, 시장에 집중Product Owner (PO): 전술적(Tactical) - Product Manager의 전략을 실현 가능한 업무로 만들고, 다른 팀과 함께 요구사항을 해결Product managers are strategic. They focus ..

PM 2024.07.08

IT 업계 PM이란 무엇인가? (1/3)

PM의 높아지는 인기IT 업계에서 일하거나 관심이 많은 분들이라면 아래 인물들에 대해 한 번쯤 들어 본 적이 있으실 겁니다.아마도 스타트업에 종사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Chrome, ChatGPT, Notion은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하기에 더욱 친숙하실텐데요.요즘 업계에서 잘 나가는 회사의 대표라는 점 이외에 다른 공통점은 무엇일까요?흥미롭게도 세 명 모두 PM 출신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습니다.이전만 해도 회사에서 세일즈나 마케팅 경력이 대표가 될 수 있는 지름길이라고 여겨졌는데, 이제는 Product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PM 출신의 대표들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특히나 업계를 가리지 않고 소프트웨어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면서, 소프트웨어와 사용자 경험을 관리하는 Product Manager의 역할이 더욱 ..

PM 2024.07.05
728x90
반응형